1. 아연


* 식약처 : 정상적인 면역기능에 필요, 정상적인 세포분열에 필요



1) 면역

  • 면역시스템을 도와 세균과 바이러스 침입을 막고, 단백질과 DNA 만드는 사용
  • 임신, 유소아의 적절한 성장과 발달에 필요
  • 권장량

🐶 남자 : 10mg

🐱 여자 : 8mg

😊 일일 최대섭취량 : 35mg


2) 결핍시

  • 청소년 : 성장 지연, 발달 지연
  • 성인 : 탈모, 설사, 식욕부진, 상처회복 지연, 미각 이상

발기부전

  • 영양결핍으로 설사를 하는 저개발국 어린이에게 아연 보충으로 사망을 줄임
  • 윌슨병 : 체내 구리(Cu) 양이 많은 유전질환, 아연은 구리 흡수를 억제하고, 배설도움
  • 위장관 수술, 궤양성 대장염 같은 소화기질환 사람은 

아연 흡수가 안되고 소변으로 많이 빠져나가 부족하기 쉬움

  • 채식주의자 : 고기(아연의 공급원) 안먹고, 콩이나 통곡물에 피트산이 아연의 흡수 방해

3) 감기도움

  • 로렌지제제 80~92mg 하루 6~10차례 나누어 먹을때

콧물, 재채기, 인후통, 근육통 증상 전반적으로 줄고, 감기가 빨리나음


4) 기타

  • 노인성황반변성 늦출수 있음 (80mg 6개월간 섭취)
  • 여드름, 상처회복에 도움
  • 남성 불임에서 혈액 아연 농도가 낮은편인 사람은 아연 보충 도움

5) 고용량 주의

  • 건강관리 차원에서 꾸준히 먹을시 12mg 이하로 들어있는 제품 선택
  • 감기나 노인성황반변성 목적으로 고용량 섭취 (전문가 문의) 아니라면

과용량은 지나친 구리 배설로 인한 구리 결핍

혈당을 낮출 있음


6) 가공식품 섭취 줄이기

  • 식품첨가물 폴리인산은 대부분 대변으로 배출
  • 이때 아연, , 구리 같은 금속 미네랄과 결합해서 배출









2) 당뇨와 아연 


1)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

  • IDE (Insuline Degrading Enzyme) 
  • 인슐린 수용체와 인슐린을 분리하여 재사용하게 하는 물질
  • IDE 구조의 중심에 Zinc 있음
  • 아연이 부족할 경우 인슐린 저항성 야기할 수도 있음


2) 인슐린의 구조

  • 인슐린의 중앙에 아연이 존재
  • 척추동물의 췌장에 아연이 많이 분포하는 이유를 보여줌
  • 부족할 경우 인슐린 자체 생산의 문제


3) 흡수율

  • 음식을 통한 아연 흡수율이 떨어짐
  • 당뇨환자는 음식을 통해 보충하는 것이 한계

4) 아밀린 단백질 덩어리 형성을 막음

  • 아밀린 : 베타세포에서 인슐린과 함께 분비되는 당대사 호르몬

분해 호르몬의 분비를 저해하고 음식물을 소화기관에

머무는 시간을 늘려 포만감을 유지시키는 역할

  •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응집되기 쉬운 구조
  • 아밀린 덩어리가 형성되면 혈당 조절하는 베타세포의 기능을 방해
  • 아연은 아밀린 단백질 덩어리 형성을 막음
  • 아밀린 단백질 덩어리 :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헌팅턴과 같은

퇴행성질환에서 발견








3. 어린이 아연


1) 왜 먹어야하는가?

  • 아이들의 면역력과 성장이 도움
  • 특히 성장에 도움될수 있음
  • 세포 분열 증식(DNA, RNA 합성), 골격 형성,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
  • 음식: ( 한개에 거의 8mg), 조개, 콩류, 도정되지 않은 곡류
  • 식품 아연 흡수율은 14~40%정도
  • 가공식품 좋아하는 경우 (소시지, )

폴리인산, 피틴산 같은 성분이 아연 흡수를 방해


2) 고르는 조건

  • 화학부형제와 합성첨가물은 제외하는 것이 좋음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이산화규소(실리카, 방습제성분), HPMC 등은 제외
  • 젤리 타입의 경우, 젤라틴이 사용 
  • 츄어블 형태 : 착향료, 감미료, 착색료 주의

(포도향, 딸기향, 소르비톨, 아스파탐, 적색 2, 녹색 3)

(아스파탐, MSG, 퀴놀린색소황색, 청색 -> 신경세포의 정상적인 발달에 지장)



3) 제품

@ 징크드롭 (아연 10mg, 30ml)

  • 용법 : 1 1, 1 10방울 (0.3ml)


@ 뉴트리코어 키즈 아연

  • 아연 8.5mg (건조효모) (2정기준)
  • 용법 : 1 1 2
  • 이산화규소, HPMC,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사용하지 않음
  • 부원료 : 초유, 유기농 과일4, 유기농 야채 13





'일반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떨려서 마그비 액티브정 먹어봄  (0) 2018.01.01

옥티란


성분 :

브롬화옥틸로늄  40mg


효과 :

위장관 경련 과민성대장증후군

용법 : 

1 20~40mg 1 2~3 경구투여


기전 :

항무스카린성 칼슘 채널 차단제

(Muscarinic receptors, tachykinin NK2 receptors, L-type, T-typle calcium

channel 억제, 몸에 소량 흡수되기에 위장관 시스템에만 국한)

장관평활근의 근세포내로 칼슘이온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직접적인

근이완 효과와 강력한 진경작용을 나타냄

복용 30분부터 복통, 설사, 변비 복부 팽만감 등의 작각증상을 없애주기 시작

지속적으로 효과를 나타냄

자율신경계에는 작용하지 않고 위장관 평활근에만 선택적으로 작용

항콜린제 부작용 등의 전신성 이상반응 없이 복용가능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이토텍, 알소벤 (200mcg, 100mcg)  (0) 2018.05.01
셀벡스 캡슐  (0) 2018.05.01
카리메트산/과립  (0) 2018.05.01
수술전 metformin 당뇨약을 중단해야하는 이유  (0) 2018.04.23
딜라스트캡슐 10mg  (0) 2018.04.23

성분 :

미소프로스톨


효과 : 

위산분비억제 작용, 점맥분비 촉진, 중탄산이온 분비 촉진,

위점막의 혈류량 증가 등과 같은 위점막 보호 작용으로써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NSAIDs 투여로 인한 위장관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


* 산부인과

자궁 수축작용을 응용하여 임신 초기와 중기의 임신중절,

만삭 임신의 유도분만, 산후 자궁무력증에 의한 자궁 출혈시

자궁 수축 등의 목적으로 사용

 



용법/용량 :

/십이지장궤양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투여로 인한 /십이지장궤양치료

1 2(미소프로스톨로서 200마이크로그람) 

1 4 4~8주간 식사시 취침시에 경구투여


NSAIDS 투여로 인한 /십이지장염 /십이지장궤양의 예방

1 4~8(미소프로스톨로서 400~800마이크로그람) 

식사시 취침시에 경구투여


NSAIDs 치료기간에 투여, 부작용으로 일어날 있는 설사를 최소한 줄이기

위해 음식과 함께 투여하며 마그네슘함유 제산제와 병용을 피함






기전 :

세포에 존재하는 prostaglandin 수용체에 작용하여 분비를 억제

prostaglandin 유사물질로서 위산에 반하여 방어인자인 점막을 생성하게 하는

프로스타글란딘 유사물질(PGE1)


<-> 레바미피드(무코스타) prostaglandin 생성을 촉진, 점막하 혈류량증가




약물동력학 : 

Misoprostol 경구 투여시 혈액에서 약리학적 활성 대사물인 유리산으로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대사된다. 200μg 1 분량의 경구 투여후 

최고 혈장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12±3분이며 

반감기는 20-30분으로 신속하게 배설된다. 

축적현상은 나타나지 않으며 2 이내 혈장에서 정상상태에 도달한다. 

위산분비에 대한 효과는 경구 투여 30 후에 나타나고 3시간 동안 지속된다.

산과적으로는 경구, , 직장등의 투여 경로로 이용이 되고 있는데 

경구나 질의 점막을 통해 흡수가 잘되고 직장 점막을 통한 흡수도 효과적이다

(Bamigboye , 1988).


경구투여의 경우는 질내 투여방법보다 간편하기는 하지만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질내투여보다 짧아서

위장관과 심혈관계 부작용의 가능성이 질내 투여방법보다 많다고 알려져 있다

(Zieman , 1997).

자궁긴장도에 대한 효과는 경구 투여시에 질을 통한 투여보다 효과는 빠르고 

질을 통한 투여에서 오랫동안 높은 자궁 긴장도를 유지할 있고 

4시간 동안 지속된다고 한다 (Danielsson , 1999)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티란  (0) 2018.05.01
셀벡스 캡슐  (0) 2018.05.01
카리메트산/과립  (0) 2018.05.01
수술전 metformin 당뇨약을 중단해야하는 이유  (0) 2018.04.23
딜라스트캡슐 10mg  (0) 2018.04.23

셀벡스 캡슐 


성분 : 

테프레논 50mg


효과 : 

위염 위궤양치료제

위궤양, 위점막 병변의 개선 (급성위염, 만성위염의 급성악화기)

점액의 합성 분비를 촉진시켜 위산의 공격으로부터 점막을 

보호하는 방어인자 증강작용을 가짐

반동이나 점막의 방어능력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가지지않음

세포 보호 특성을 가짐, 점막의 중탄산염 농도를 증가시키고

위장의 정상적인 생리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병변의 치유를 도움

피크 혈장 농도는 5시간 내에 도달


용량  : 

성인 - 1 150mg 3 분할 식후에 경구투여


부작용 : 

메스꺼움, 식욕 부진, 구갈 건조, 설사, 변비, LFT 상승, 혈청 콜레스테롤 증가

두통


역사 :

테르페노이드(Terpenoid) 화합물로 일본에서 개발

점막의 합성과 분비를 촉진하여 점막회복을 도움

논문에서는 호중구 침윤과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여

위궤양의 악화를 억제


연구 :   우울증 개선 효과

세포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손상됐을 생성되고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열쇼크단백질(HSP105) 발현을 촉진시키는효과

HSP 증가하면 신경의 성장과 재생을 촉진하는 물질이면서 항우울효과가

있는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발현량이 증가


복약지도 :

입이 마를 경우 소량의 물로 입을 축이거나 무설탕 또는 사탕을 먹기

과도한 흡연, 커피, 등은 위장 질환을 악화시킬 있음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티란  (0) 2018.05.01
싸이토텍, 알소벤 (200mcg, 100mcg)  (0) 2018.05.01
카리메트산/과립  (0) 2018.05.01
수술전 metformin 당뇨약을 중단해야하는 이유  (0) 2018.04.23
딜라스트캡슐 10mg  (0) 2018.04.23

카리메트 /과립


1)   성분

    

   Polystyrene Sulfonate Calcium 5g


2)   효능/효과


   고칼륨혈증 (식이조절이 우선)

   구강 투여 1시간 후에 효과 나타남 

   소화관에서 흡수되지 않고 위장관 내의 K+농도가 높은 하부 결장부근에서

   자신의 칼슘을 방출하고 칼륨을 흡착하여 분변중에 배설되어 장관중의 칼륨을

   체외로 제거하여 고칼륨혈증을 치료한다

   양이온 교환 수지

   이온교환반응으로 (칼슘 <-> 칼륨 ) 즉각 일어나서 1시간후 효과가 발현

   15~30g 1 투여서 대략 1mEq/L 억제함


3)   용법/용량


   경구 : 1 15~30g 2~3회로 분할하고 1회량을 30~50ml 현탁하여 경구


   직장 : 30g 또는 2% 메칠셀룰로오스 용앣 100ml 현탁

현탁액을 체온정도로 가온하고 30~1시간 장관내 방치


4)   상호작용


   알루미늄, 마그네슘, 칼슘 등을 함유하는 제산제/완하제 (양이온과 비가역적반응)

-> 칼륨과 결합이 저하됨

-> 장관 분비된 탄산수소염의 중화를 방해하여 알칼리증 주의


   디가탈리스, 디곡신 -> 병용투여시 주의


5) 고칼륨혈증이란


   정상수치 : 3.5~5.5mEq/L (혈중)


   말기 신질환 환자의 경우 신기능 악화로 소변으로 칼륨 배설을 하지 못함


-> 혈액중 칼륨 농도가 높아짐

   투석 환자의 경우 칼륨 함유 음식 과량섭취, 영양부족, 투석 부족, 소화기관의 출혈


  • 고칼륨혈증시


신체 근육 심장 근육에 영향 -> 심하면 심장마비

신경 근육계 : 감각장애

위장관계 : 속이 메슥거림, 설사, 경련

심장, 혈관계통의 증상


  • 저칼륨혈증시

신경계통 -> 신경자극이 감소되어 피로, 권태, 감각이상

위장관계 : 입맛이 없고 변비가 생기며 운동이 감소

심장, 혈관계통 : 부정맥과 저혈압, 맥박이 느려짐

근육수축의 감소로 호흡근이 허약, 얕은 호흡


  • 식사요법

칼륨이 많은 음식

단순당과 지방질을 제외한 모든 식품에 대부분 함유

주로 마른 과일, 견과류, 감자, 고구마, , 야채, 과일

칼륨 줄이기

물에 오래 담가두기, 데쳐내기

껍질이나 줄기 제거

채소의 10배이상 미지근한 물에 채소를 최소 2시간 이상 담구기

버리고 1회분씩 원하는 방식으로 조리

과일 껍질 벗기기

통조림형태 과일도 (당뇨 동반시 주의)

육류 어류는 날것 안먹고 가열하여 조리한것 먹기

잡곡 피하고 흰밥먹기

초콜릿이나 견과류, 코코넛, 건포도 사탕 피하기


6) 카리메트 논란

  • 해외에서 금지?
  • 이론상으로는 칼륨 흡착해 내보낸다지만??
  • 실제로는 장에 설사를 유발해 음식물들이 장에 흡수되지 못하게
  • 급성 대장 괴사 유발할수도 !!
  • 해외에서는 주로 Sodium Polystyrene Sulfate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이토텍, 알소벤 (200mcg, 100mcg)  (0) 2018.05.01
셀벡스 캡슐  (0) 2018.05.01
수술전 metformin 당뇨약을 중단해야하는 이유  (0) 2018.04.23
딜라스트캡슐 10mg  (0) 2018.04.23
메소칸캡슐 50mg  (0) 2018.04.23

방사선 요오드 조영제를 정맥 내 투여하는 검사를 받는 경우

 

(정맥요로조영술, 정맥담관조영술, 혈관조영술, 조영제를 사용한 컴퓨터단층촬영술)

 

-> 이로 인해 급성 신장 질환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 90%가 미변화체로 신배설되는 metformin의 복용을 조영제 투여 48시간 전에 중단하고

48시간 이후에는 신기능이 정상임을 확인한 후 복용을 시작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벡스 캡슐  (0) 2018.05.01
카리메트산/과립  (0) 2018.05.01
딜라스트캡슐 10mg  (0) 2018.04.23
메소칸캡슐 50mg  (0) 2018.04.23
항혈소판제  (0) 2018.04.22

딜라스트캡슐

 

성분 : Ibudilast 10mg (서방정)

 

식약처 분류 : 기타의 순환계용약

 

효능 : 뇌경색 후유증에 따른 만성뇌순환장애로 인한 어지럼증의 개선

 

용법 : 1회 10mg을 1일 3회 경구투여

 

스토리 :

 

- 일본에서 주로 항염증약으로 사용됨

- 주로 PDE4 를 저해하며 다른 PDE도 상당수 저해

- 기관지 확장제, 혈관확장제, 신경보호효과로 인해

-> 천식이나 뇌졸증에 주로 쓰임

-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므로 다발성경화증의 치료에도 사용

- BBB 또한 통과함 ---> glial cell 활성을 억제  ---> 신경통에도 사용

(opiod 약의 짙옹을 증가시키며, 내성또한 감소시킴)

- methamphetamine 그리고 알콜 중독에도 사용

- TLR4 (toll-like receptor 4) 길항제로도 분류됨

-> 이것이 opiod 약과의 시너지 효과, 항염증 효과, 진통효과를 나타냄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리메트산/과립  (0) 2018.05.01
수술전 metformin 당뇨약을 중단해야하는 이유  (0) 2018.04.23
메소칸캡슐 50mg  (0) 2018.04.23
항혈소판제  (0) 2018.04.22
글리아티린  (0) 2018.04.10

 

성분 : 메소글리칸 (Mesoglycan)

- GAG(glycoaminoglycan)의 일종

- 황화 다당체 화합물 (heparan sulfate 52% , dermatan sulphate 35%, electrophoretically slow moving heparin 8%

chondroitin sulphate 5%)

- 소의 대동맥으로 추출

- anti-thrombin III와 heparin cofactor II의 활성을 증가시켜 factor Xa 및 IIa를 억제하여 항응고 작용

- 혈관내피세포에서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의 방출을 증가시켜 혈전 용해에 대한 중재작용

- 최근 연구 : 중성지방, LDL은 감소 HDL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

- heparan sulfate는 LDL 혈관벽 내부침착을 감소시키고 평활근 세포의 확산 및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

- 적혈구 막의 유동성을 증가시킴으로서 혈류개선효과

 

임상

- 하지의 허혈로 인해 발생된 치명적이지 않은 간헐성 파행의 일차적 치료 약제로 이용

- 죽상경화로 인한 허혈성 합병증의 예방과 보행 능력 향상을 목표

 

< 출처 : 혈관질환 환자의 예방치료에 있어 메소글리칸의 안정성 및 유효성에 관한 시판 후 조사에 대한 연구 ; 임상약학회지 제 15권 제 2호 >

 

식약처 분류 : 동맥경화용제

 

효능 : 혈전 위험성이 있는 혈관질환 (동맥경화증, 말초동맥경화성 질환)

 

용법 : 1회 50mg을 1일 1~2회 경구투여

 

수술전 : 7일전 투약 중지 권고

 

주의사항 : 헤파린 민감자 주의, 항응고제 투여자 주의

피부발진시 치료 중단

항응응고제와 병용시 정기적인 혈액응고지표 검사를 실시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리메트산/과립  (0) 2018.05.01
수술전 metformin 당뇨약을 중단해야하는 이유  (0) 2018.04.23
딜라스트캡슐 10mg  (0) 2018.04.23
항혈소판제  (0) 2018.04.22
글리아티린  (0) 2018.04.10

< 출처 : http://www.yakup.com/pharminfo/pharminfo2007-02-03.php >



적응증


1. 혈소판의 기능을 억제하여, 혈전으로 인해서 생기는 여러가지 질병들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쓰임


2. transient ischemia attack (TIA, 일과성허혈발작)


3. stroke (뇌졸증)


4. angina (협심증)


5. myocardial infarction (MI, 심근 경색)


6.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심장동맥우회로술)


7.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경피경심장동맥확장술)


8. arteriosclerosis (동맥경화증)


9. intermittent caludication (간헐적 파행)


종류









1. COX 저해재

- 대표 약물 : 

Aspirin 

triflusal (디스그렌)

- 혈소판의 COX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여 강력한 혈소판 촉진물질인 thromboxane A2 (TXA2) 생성 억제

- Aspirin은 비가역적으로 COX를 acetylation화 하여 TXA2의 생성을 억제함

- 주로 MI, angina, CABG 등 심혈관, 뇌혈관의 질환에 주로 쓰임

- triflusal은 COX를 억제하면서도 PDE를 억제

- triflusal 아스피린과 유사하게 COX를 비가역적으로 차단하지만 낮은 수준으로 제한

-> prostacyclin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지는 않음

반면 cAMP 분해를 제한하고, 세포내 칼슘 mobilization과 platelet-endothelial cell interation을 차단

COX-2의 발현과 NF-kappa B의 transcription factor, VCAM-1 활성을 억제

Neutrophils의 nitric oxide 합성을 증가시켜 혈관 확장성을 증가

--> 결과적으로 platelet 응집과 혈관의 염증반응에 연관된 target에 작용하여 항응고 효과

--> 여러 심혈관 질환, CABG, 불안정형 협싱증, 말초 혈관 질환, 뇌졸증, 혈전색전 질환에 적응증



2. PDE 저해제

- 대표약물 : 

cilostazol (프레탈, 실로스탄, 로사졸, 써큐스타(복합제로서 은행엽엑스 80mg))

dipryridamole (아그레녹스, 아디녹스; asprin 25mg복합제)

pentoxifylline (트렌탈, 페렌탈)

- phosphodiesterase3 (PDE3) 를 저해하여 cAMP의 파괴를 억제하여 혈선 활성화를 억제

- 궁극적으로 cAMP를 간접적으로 증가시켜 serotonin이나 ADP의 유리를 억제하여 혈소판 음집을 억제

- Dipryidamole은 심혈관, 말초혈관 질환에 모두 쓰임, 단독 혹은 aspirin과 복합제제로 쓰임

- Pentoxifylline과 cilostazol은 간헐성 파행 등 말초혈관의 질병에 많이 쓰임

혈소판 저해효과 외에 혈액의 점도를 감소시켜서 혈액흐름에도 좋은효과



3. cAMP 증가

- 대표약물 :

limaprost (리마딘, 오팔몬, 오프몬, 프리몬 등등)

beraprost (베라실, 유니버거)

- prostaglandin E1 계 유도체

- 혈소판의 PGE2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내 cAMP 농도를 상승시키고 Ca2+ 유입을 억제하여

항혈소판 작용과 혈관확장작용을 나타냄

- 폐색성혈전혈관염(버거병)에 의한 궤양, 동통, 냉감 등의 허혈성 증상 개선

- 후천성 요부척추관협착증에 의한 자각증상 (하지동통, 하지저림), 보행능력 개선

- 혈관확장 작용이 강력해 위장관계 부작용과 심계항진, 안면홍조, 두통, 열감 등이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


4. ADP R 저해제 (P2Y12 수용체 차단제)

- 대표약물 : 

ticlopidine (크리드)

clopidogrel (클라빅신, 크리빅스, 프리그렐, 플라비톨, 플라빅스, 슈퍼피린(아스피린복합제))

prasugrel (에피언트)

* 번외 : ticagrelor (브릴란타)

- ADP가 혈소판 receptor인 P2Y12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

- Ticlopidine은 뇌혈관 질병에 주로 쓰임

- clopidogrel은 뇌혈관 질병과 PCI에 널리 쓰임

- prasugrel과 clopidogrel은 간에서 에스터라제에 의해서 영향을 받음

clopidogrel -> 에스터라제 -> 85% 불활성화 (두단계의 CYP450 대사)

prasugrel -> 에스터라제에 의해 활성화 (가이드라인에서는 신약을 권고하고 있지않음) (한단계의 CYP450)

가격 : clopidogrel (100mg 기준 1155원/정) vs prasugrel (50mg 기준 1905원/정)

- prasugrel -> PCI이 예정된 중등도 이상 고위험 환자


- ticagrelor은 clopidogrel이나 prasugrel관 다르게 간 대사를 거치지 않고 바로 P2Y12 수용체 억제

- ticagrelor -> 불안정성 협심증,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NSTEMI), 혹은 STEMI, 

PCI 또는 CABG이 예정된 환자 등을 포함한 급성관성동맥증후군 환자들로 포괄적

- ticagrelor 싸이클로펜틸트리아졸로 피리미딘(CPTPs) 새로운 화학적 계열

간대사를 거치지 않음

가역적결합 (clopidogrel이나 prasugrel은 비가역적) -> 따라서 중단 3일이면 저해도가 20% 이하 감소

약물효과가 투약후 30분만에 나타남 (클로피도그렐 대비 4배 빠름)

CYP 유전적 다형성과 연관 없어 효과 차이 날 가능성 적음

CYP3A에 의해 대사되므로 아토르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의 경우 서로의 혈중농도 높일 수 있음

디곡신 혈중 농도 모니터링 필요 (p-당단백질 전달체를 약하게 억제)


5. GP II b - III a

- 대표약물 : 

abcximab 

eptifibatide 

tirofiban

- 혈소판의 IIb/IIIa recopter를 차단하는 약제

- GP II b -III a 의 단일클론항체


6. Serotonin 5-HT2A R 저해제

- 대표약물 :

Sarpogrelate (안플레이드, 사포레이트)

- 혈소판 촉진물질인 serotonin 5-HT2의 recepter를 저해하여 혈정생성을 억제

- 5-HT 역할

혈전을 활성화시키는 Aognist 중하나

platelet내 저장되었다가 분비되어 platelet을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vascular contration과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을 자극하여

혈정 형성과 혈관폐쇄를 유발

- peripeheral artery disease치료에 효과적

- 임상적으로 심혈관 질환과 당뇨 환자에서 유용성

- acute coronary syndrome(ACS)와 PCI에 정맥주사 제제로 쓰임



주의


1. 출혈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지혈이상이나 출혈의 위험이 있는 경우 약물 사용 주의


2. 아스피린은 Reye 증후군 주의 (수두 혹은 독감 증상 아이들에게 금기)


3. 아스피린은 pregnancy category D로 임부의 경우 주의 (Clopidogrel은 B라서 상대적으로 안전)


4. 단일클론항체의 경우 중성구감소증 이나 혈소판감소증의 경우 금기


5. 항혈소판제제들은 다른 항혈전제와 같이 사용될 경우나 Ginseng, ginger, ginko 등이나

비타민 E 병용시 출혈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주의


6. Aspirin, Clopidogrel, ticlopidine 같은 비가역 저해제들은 수술 7~10일 전에 중단



급여


뇌혈관, 심혈관, 말초동맥

Dipyridamole

Ticlopidine

Triflusal

Clopidogrel

뇌혈관, 말초동맥 질환

Cilostazol

말초동맥성 질환

Limaprost

Sarpogrelate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리메트산/과립  (0) 2018.05.01
수술전 metformin 당뇨약을 중단해야하는 이유  (0) 2018.04.23
딜라스트캡슐 10mg  (0) 2018.04.23
메소칸캡슐 50mg  (0) 2018.04.23
글리아티린  (0) 2018.04.10

70대이상 어르신들 처방전을 받고 조제하다보면 위장약처럼 심심치 않게 있는 약이 있다


글리아티린 ....


성분 : 콜린알포세레이트 400mg


어디에 쓰일까?


뇌기능개선제로 쓰인다고 나온다


뇌기능개선제... 무엇을 어떻게 하길래 개선을 시킬까?


우리가 콜린알포세레이트라는 성분을 먹게되면


이 성분이 뇌의 BBB 를 통과하여


콜린 + 글리세로포스페이트으로 분해되어


콜린 ——> 뇌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으로 변하여 인지기능 개선에


글리세로포스페이트 ——> 인지질 구성성분으로 궁극적으론 뇌세포 안정화에..


대략 이런 기전으로 ‘뇌기증개선제’라 하여


보험급여를 받는 전문약으로 분류되어 어르신들에게 많이 공급되고 있다





히스토리


2000년대에 이탈리아 제약회사(이탈파마코)로부터 오리지널 판권을 받아


대웅제약에서 ‘글리아타린’ 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를 하게됨


2016년경(?) 


대웅제약과 이탈리아 제약회사


종근당이 이탈리아 제약회사와 사전계약을 통해 오리지널 판권을 가져가게됨


오리지널 판권을 넘기게된 대웅... 자회사 대웅바이오에서 “글리아타민 “ 이라고 자사 제네릭을 만듦


2016년 초 종근당 글리아티린 출시



논란


1. 대조약 논란


기존 대웅 글리아티린은 대조약의 지위를 가지며 여러 제네릭의 대조약으로 활동함


종근당이 글리아티린을 가져가게 되면서


대웅 글리아티린의 대조약 허가가 취하되고


종근당 글리아티린이 대조약이라고 공고함


이에 대웅은  대조약 변경이 무슨소리냐며 맞불 취소 청구를 냄 (한마디로 자사 글리아타민을 대조약으로 해주라)


이에 식약처는 우선 대웅에 손을 들어줌


그렇게 2년간 엎치락 뒤치락 싸우다가 최근 2017년 말 결국 종근당 글리아티린이 대조약이됨


여기서 !! 


대조약이 2년동안 없다싶히 하니 다른 제약회사에서 제네릭을 못만드는 상황


약국가에 최근 2년간 글리아티린 혹은 글리아타민이 대부분 있는 이유



2. 효과


건약에서는 콜린알포세레이트는 이탈리아, 폴란드, 러시아, 아르헨티나 등에서만 쓰이며


미국에서는 의약품인증도 못받은 건기식이라는 주장


효과자체를 입증할만한 논문도 거의 없다는 주장


그리고 단독경구투여시 효과는 미비하며


도네페질같은 치매약과 같이 병용하거나 주사로 투여했을때 어느정도 효과를 보인다는 주장


그러면서 전문약 급여로 인정되 건강보험재정에 막대한 낭비 (누적 약제비 약 1조 1천억) 한다는것


차라리 그돈으로 진정 치매환자를 위해 돈이 쓰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종근당은 2012년부터 4년간 임상연구 이른바 아스코말바 를 통해 효과를 입증했다고 발표


(연구교수는 이탈리아의 한 대학의 교수... .............)







실제 임상에서는 정말 지긋지긋하게 나오는 녀석이다


서두에서도 말했지만


70대 이상에서는 위장약처럼 자주 처방이되는 약이다


효과가 정말 있는 건지 없는 건지 확실한 데이터를 알고 싶은데


미국에서 이약이 의약품이 아니니 뭐 어떻게 할 수 있을까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도 보면 글리아티린의 개발국인 이탈리아..




뭐 가장중요한건


이것을 먹고 환자의 인지력개선에 조금이나마 도움되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정말 효과가 미비하다면


건강보험재정에 큰 구멍이 아닐까 생각한다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리메트산/과립  (0) 2018.05.01
수술전 metformin 당뇨약을 중단해야하는 이유  (0) 2018.04.23
딜라스트캡슐 10mg  (0) 2018.04.23
메소칸캡슐 50mg  (0) 2018.04.23
항혈소판제  (0) 2018.04.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