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http://www.yakup.com/pharminfo/pharminfo2007-02-03.php >
적응증
1. 혈소판의 기능을 억제하여, 혈전으로 인해서 생기는 여러가지 질병들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쓰임
2. transient ischemia attack (TIA, 일과성허혈발작)
3. stroke (뇌졸증)
4. angina (협심증)
5. myocardial infarction (MI, 심근 경색)
6.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심장동맥우회로술)
7.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경피경심장동맥확장술)
8. arteriosclerosis (동맥경화증)
9. intermittent caludication (간헐적 파행)
종류
1. COX 저해재
- 대표 약물 :
Aspirin
triflusal (디스그렌)
- 혈소판의 COX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여 강력한 혈소판 촉진물질인 thromboxane A2 (TXA2) 생성 억제
- Aspirin은 비가역적으로 COX를 acetylation화 하여 TXA2의 생성을 억제함
- 주로 MI, angina, CABG 등 심혈관, 뇌혈관의 질환에 주로 쓰임
- triflusal은 COX를 억제하면서도 PDE를 억제
- triflusal 아스피린과 유사하게 COX를 비가역적으로 차단하지만 낮은 수준으로 제한
-> prostacyclin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지는 않음
반면 cAMP 분해를 제한하고, 세포내 칼슘 mobilization과 platelet-endothelial cell interation을 차단
COX-2의 발현과 NF-kappa B의 transcription factor, VCAM-1 활성을 억제
Neutrophils의 nitric oxide 합성을 증가시켜 혈관 확장성을 증가
--> 결과적으로 platelet 응집과 혈관의 염증반응에 연관된 target에 작용하여 항응고 효과
--> 여러 심혈관 질환, CABG, 불안정형 협싱증, 말초 혈관 질환, 뇌졸증, 혈전색전 질환에 적응증
2. PDE 저해제
- 대표약물 :
cilostazol (프레탈, 실로스탄, 로사졸, 써큐스타(복합제로서 은행엽엑스 80mg))
dipryridamole (아그레녹스, 아디녹스; asprin 25mg복합제)
pentoxifylline (트렌탈, 페렌탈)
- phosphodiesterase3 (PDE3) 를 저해하여 cAMP의 파괴를 억제하여 혈선 활성화를 억제
- 궁극적으로 cAMP를 간접적으로 증가시켜 serotonin이나 ADP의 유리를 억제하여 혈소판 음집을 억제
- Dipryidamole은 심혈관, 말초혈관 질환에 모두 쓰임, 단독 혹은 aspirin과 복합제제로 쓰임
- Pentoxifylline과 cilostazol은 간헐성 파행 등 말초혈관의 질병에 많이 쓰임
혈소판 저해효과 외에 혈액의 점도를 감소시켜서 혈액흐름에도 좋은효과
3. cAMP 증가
- 대표약물 :
limaprost (리마딘, 오팔몬, 오프몬, 프리몬 등등)
beraprost (베라실, 유니버거)
- prostaglandin E1 계 유도체
- 혈소판의 PGE2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내 cAMP 농도를 상승시키고 Ca2+ 유입을 억제하여
항혈소판 작용과 혈관확장작용을 나타냄
- 폐색성혈전혈관염(버거병)에 의한 궤양, 동통, 냉감 등의 허혈성 증상 개선
- 후천성 요부척추관협착증에 의한 자각증상 (하지동통, 하지저림), 보행능력 개선
- 혈관확장 작용이 강력해 위장관계 부작용과 심계항진, 안면홍조, 두통, 열감 등이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
4. ADP R 저해제 (P2Y12 수용체 차단제)
- 대표약물 :
ticlopidine (크리드)
clopidogrel (클라빅신, 크리빅스, 프리그렐, 플라비톨, 플라빅스, 슈퍼피린(아스피린복합제))
prasugrel (에피언트)
* 번외 : ticagrelor (브릴란타)
- ADP가 혈소판 receptor인 P2Y12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
- Ticlopidine은 뇌혈관 질병에 주로 쓰임
- clopidogrel은 뇌혈관 질병과 PCI에 널리 쓰임
- prasugrel과 clopidogrel은 간에서 에스터라제에 의해서 영향을 받음
clopidogrel -> 에스터라제 -> 85% 불활성화 (두단계의 CYP450 대사)
prasugrel -> 에스터라제에 의해 활성화 (가이드라인에서는 신약을 권고하고 있지않음) (한단계의 CYP450)
가격 : clopidogrel (100mg 기준 1155원/정) vs prasugrel (50mg 기준 1905원/정)
- prasugrel -> PCI이 예정된 중등도 이상 고위험 환자
- ticagrelor은 clopidogrel이나 prasugrel관 다르게 간 대사를 거치지 않고 바로 P2Y12 수용체 억제
- ticagrelor -> 불안정성 협심증,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NSTEMI), 혹은 STEMI,
PCI 또는 CABG이 예정된 환자 등을 포함한 급성관성동맥증후군 환자들로 포괄적
- ticagrelor 싸이클로펜틸트리아졸로 피리미딘(CPTPs) 새로운 화학적 계열
간대사를 거치지 않음
가역적결합 (clopidogrel이나 prasugrel은 비가역적) -> 따라서 중단 3일이면 저해도가 20% 이하 감소
약물효과가 투약후 30분만에 나타남 (클로피도그렐 대비 4배 빠름)
CYP 유전적 다형성과 연관 없어 효과 차이 날 가능성 적음
CYP3A에 의해 대사되므로 아토르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의 경우 서로의 혈중농도 높일 수 있음
디곡신 혈중 농도 모니터링 필요 (p-당단백질 전달체를 약하게 억제)
-
5. GP II b - III a
- 대표약물 :
abcximab
eptifibatide
tirofiban
- 혈소판의 IIb/IIIa recopter를 차단하는 약제
- GP II b -III a 의 단일클론항체
6. Serotonin 5-HT2A R 저해제
- 대표약물 :
Sarpogrelate (안플레이드, 사포레이트)
- 혈소판 촉진물질인 serotonin 5-HT2의 recepter를 저해하여 혈정생성을 억제
- 5-HT 역할
혈전을 활성화시키는 Aognist 중하나
platelet내 저장되었다가 분비되어 platelet을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vascular contration과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을 자극하여
혈정 형성과 혈관폐쇄를 유발
- peripeheral artery disease치료에 효과적
- 임상적으로 심혈관 질환과 당뇨 환자에서 유용성
- acute coronary syndrome(ACS)와 PCI에 정맥주사 제제로 쓰임
주의
1. 출혈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지혈이상이나 출혈의 위험이 있는 경우 약물 사용 주의
2. 아스피린은 Reye 증후군 주의 (수두 혹은 독감 증상 아이들에게 금기)
3. 아스피린은 pregnancy category D로 임부의 경우 주의 (Clopidogrel은 B라서 상대적으로 안전)
4. 단일클론항체의 경우 중성구감소증 이나 혈소판감소증의 경우 금기
5. 항혈소판제제들은 다른 항혈전제와 같이 사용될 경우나 Ginseng, ginger, ginko 등이나
비타민 E 병용시 출혈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주의
6. Aspirin, Clopidogrel, ticlopidine 같은 비가역 저해제들은 수술 7~10일 전에 중단
급여
뇌혈관, 심혈관, 말초동맥
Dipyridamole
Ticlopidine
Triflusal
Clopidogrel
뇌혈관, 말초동맥 질환
Cilostazol
말초동맥성 질환
Limaprost
Sarpogrelate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리메트산/과립 (0) | 2018.05.01 |
---|---|
수술전 metformin 당뇨약을 중단해야하는 이유 (0) | 2018.04.23 |
딜라스트캡슐 10mg (0) | 2018.04.23 |
메소칸캡슐 50mg (0) | 2018.04.23 |
글리아티린 (0) | 201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