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연


* 식약처 : 정상적인 면역기능에 필요, 정상적인 세포분열에 필요



1) 면역

  • 면역시스템을 도와 세균과 바이러스 침입을 막고, 단백질과 DNA 만드는 사용
  • 임신, 유소아의 적절한 성장과 발달에 필요
  • 권장량

🐶 남자 : 10mg

🐱 여자 : 8mg

😊 일일 최대섭취량 : 35mg


2) 결핍시

  • 청소년 : 성장 지연, 발달 지연
  • 성인 : 탈모, 설사, 식욕부진, 상처회복 지연, 미각 이상

발기부전

  • 영양결핍으로 설사를 하는 저개발국 어린이에게 아연 보충으로 사망을 줄임
  • 윌슨병 : 체내 구리(Cu) 양이 많은 유전질환, 아연은 구리 흡수를 억제하고, 배설도움
  • 위장관 수술, 궤양성 대장염 같은 소화기질환 사람은 

아연 흡수가 안되고 소변으로 많이 빠져나가 부족하기 쉬움

  • 채식주의자 : 고기(아연의 공급원) 안먹고, 콩이나 통곡물에 피트산이 아연의 흡수 방해

3) 감기도움

  • 로렌지제제 80~92mg 하루 6~10차례 나누어 먹을때

콧물, 재채기, 인후통, 근육통 증상 전반적으로 줄고, 감기가 빨리나음


4) 기타

  • 노인성황반변성 늦출수 있음 (80mg 6개월간 섭취)
  • 여드름, 상처회복에 도움
  • 남성 불임에서 혈액 아연 농도가 낮은편인 사람은 아연 보충 도움

5) 고용량 주의

  • 건강관리 차원에서 꾸준히 먹을시 12mg 이하로 들어있는 제품 선택
  • 감기나 노인성황반변성 목적으로 고용량 섭취 (전문가 문의) 아니라면

과용량은 지나친 구리 배설로 인한 구리 결핍

혈당을 낮출 있음


6) 가공식품 섭취 줄이기

  • 식품첨가물 폴리인산은 대부분 대변으로 배출
  • 이때 아연, , 구리 같은 금속 미네랄과 결합해서 배출









2) 당뇨와 아연 


1)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

  • IDE (Insuline Degrading Enzyme) 
  • 인슐린 수용체와 인슐린을 분리하여 재사용하게 하는 물질
  • IDE 구조의 중심에 Zinc 있음
  • 아연이 부족할 경우 인슐린 저항성 야기할 수도 있음


2) 인슐린의 구조

  • 인슐린의 중앙에 아연이 존재
  • 척추동물의 췌장에 아연이 많이 분포하는 이유를 보여줌
  • 부족할 경우 인슐린 자체 생산의 문제


3) 흡수율

  • 음식을 통한 아연 흡수율이 떨어짐
  • 당뇨환자는 음식을 통해 보충하는 것이 한계

4) 아밀린 단백질 덩어리 형성을 막음

  • 아밀린 : 베타세포에서 인슐린과 함께 분비되는 당대사 호르몬

분해 호르몬의 분비를 저해하고 음식물을 소화기관에

머무는 시간을 늘려 포만감을 유지시키는 역할

  •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응집되기 쉬운 구조
  • 아밀린 덩어리가 형성되면 혈당 조절하는 베타세포의 기능을 방해
  • 아연은 아밀린 단백질 덩어리 형성을 막음
  • 아밀린 단백질 덩어리 :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헌팅턴과 같은

퇴행성질환에서 발견








3. 어린이 아연


1) 왜 먹어야하는가?

  • 아이들의 면역력과 성장이 도움
  • 특히 성장에 도움될수 있음
  • 세포 분열 증식(DNA, RNA 합성), 골격 형성,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
  • 음식: ( 한개에 거의 8mg), 조개, 콩류, 도정되지 않은 곡류
  • 식품 아연 흡수율은 14~40%정도
  • 가공식품 좋아하는 경우 (소시지, )

폴리인산, 피틴산 같은 성분이 아연 흡수를 방해


2) 고르는 조건

  • 화학부형제와 합성첨가물은 제외하는 것이 좋음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이산화규소(실리카, 방습제성분), HPMC 등은 제외
  • 젤리 타입의 경우, 젤라틴이 사용 
  • 츄어블 형태 : 착향료, 감미료, 착색료 주의

(포도향, 딸기향, 소르비톨, 아스파탐, 적색 2, 녹색 3)

(아스파탐, MSG, 퀴놀린색소황색, 청색 -> 신경세포의 정상적인 발달에 지장)



3) 제품

@ 징크드롭 (아연 10mg, 30ml)

  • 용법 : 1 1, 1 10방울 (0.3ml)


@ 뉴트리코어 키즈 아연

  • 아연 8.5mg (건조효모) (2정기준)
  • 용법 : 1 1 2
  • 이산화규소, HPMC,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사용하지 않음
  • 부원료 : 초유, 유기농 과일4, 유기농 야채 13





'일반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떨려서 마그비 액티브정 먹어봄  (0) 2018.01.01

옥티란


성분 :

브롬화옥틸로늄  40mg


효과 :

위장관 경련 과민성대장증후군

용법 : 

1 20~40mg 1 2~3 경구투여


기전 :

항무스카린성 칼슘 채널 차단제

(Muscarinic receptors, tachykinin NK2 receptors, L-type, T-typle calcium

channel 억제, 몸에 소량 흡수되기에 위장관 시스템에만 국한)

장관평활근의 근세포내로 칼슘이온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직접적인

근이완 효과와 강력한 진경작용을 나타냄

복용 30분부터 복통, 설사, 변비 복부 팽만감 등의 작각증상을 없애주기 시작

지속적으로 효과를 나타냄

자율신경계에는 작용하지 않고 위장관 평활근에만 선택적으로 작용

항콜린제 부작용 등의 전신성 이상반응 없이 복용가능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이토텍, 알소벤 (200mcg, 100mcg)  (0) 2018.05.01
셀벡스 캡슐  (0) 2018.05.01
카리메트산/과립  (0) 2018.05.01
수술전 metformin 당뇨약을 중단해야하는 이유  (0) 2018.04.23
딜라스트캡슐 10mg  (0) 2018.04.23

성분 :

미소프로스톨


효과 : 

위산분비억제 작용, 점맥분비 촉진, 중탄산이온 분비 촉진,

위점막의 혈류량 증가 등과 같은 위점막 보호 작용으로써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NSAIDs 투여로 인한 위장관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


* 산부인과

자궁 수축작용을 응용하여 임신 초기와 중기의 임신중절,

만삭 임신의 유도분만, 산후 자궁무력증에 의한 자궁 출혈시

자궁 수축 등의 목적으로 사용

 



용법/용량 :

/십이지장궤양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투여로 인한 /십이지장궤양치료

1 2(미소프로스톨로서 200마이크로그람) 

1 4 4~8주간 식사시 취침시에 경구투여


NSAIDS 투여로 인한 /십이지장염 /십이지장궤양의 예방

1 4~8(미소프로스톨로서 400~800마이크로그람) 

식사시 취침시에 경구투여


NSAIDs 치료기간에 투여, 부작용으로 일어날 있는 설사를 최소한 줄이기

위해 음식과 함께 투여하며 마그네슘함유 제산제와 병용을 피함






기전 :

세포에 존재하는 prostaglandin 수용체에 작용하여 분비를 억제

prostaglandin 유사물질로서 위산에 반하여 방어인자인 점막을 생성하게 하는

프로스타글란딘 유사물질(PGE1)


<-> 레바미피드(무코스타) prostaglandin 생성을 촉진, 점막하 혈류량증가




약물동력학 : 

Misoprostol 경구 투여시 혈액에서 약리학적 활성 대사물인 유리산으로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대사된다. 200μg 1 분량의 경구 투여후 

최고 혈장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12±3분이며 

반감기는 20-30분으로 신속하게 배설된다. 

축적현상은 나타나지 않으며 2 이내 혈장에서 정상상태에 도달한다. 

위산분비에 대한 효과는 경구 투여 30 후에 나타나고 3시간 동안 지속된다.

산과적으로는 경구, , 직장등의 투여 경로로 이용이 되고 있는데 

경구나 질의 점막을 통해 흡수가 잘되고 직장 점막을 통한 흡수도 효과적이다

(Bamigboye , 1988).


경구투여의 경우는 질내 투여방법보다 간편하기는 하지만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질내투여보다 짧아서

위장관과 심혈관계 부작용의 가능성이 질내 투여방법보다 많다고 알려져 있다

(Zieman , 1997).

자궁긴장도에 대한 효과는 경구 투여시에 질을 통한 투여보다 효과는 빠르고 

질을 통한 투여에서 오랫동안 높은 자궁 긴장도를 유지할 있고 

4시간 동안 지속된다고 한다 (Danielsson , 1999)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티란  (0) 2018.05.01
셀벡스 캡슐  (0) 2018.05.01
카리메트산/과립  (0) 2018.05.01
수술전 metformin 당뇨약을 중단해야하는 이유  (0) 2018.04.23
딜라스트캡슐 10mg  (0) 2018.04.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