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방문하고

 

처방전을 받게 되면

 

대부분 경증인 경우 처방전에 V252 코드를 받게된다

 

V252코드란?

 

52개의 경증질환의 경우 대형병원에서 외래진료시 원외처방이 나오게 될경우

 

총 약제비의 본인 부담금을 40~50%으로 인상하는 것 !

 

 

 

 

 본인 부담금

 V252 코드 본인 부담금 

 30%

40~50% 

 

여기서 40%와 50% 두가지로 나뉘는데

 

40%는 준종합병원급이나 일반대형병원이 이경우고

 

50%는 상급종합병원이라해서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메이저 병원, 대학병원 등이 있다

 

( 최근 이대목동병원은 여러 이슈로? 보류중에 있다)

 

쉽게 설명해서

 

감기걸려서

 

서울삼성병원에 가서 처방전을 받고올경우

 

총약값이 10000원이라면 V252코드를 받아 50% 부담을하여 5천원을 약국에 내는 것이고

 

기독병원같은 대형병원에서 감기약 처방전을 받을경우

 

총약값이 10000원이라면 40% 부담하여 4천원만 내면된다

 

ex)예를 들어

 

 일반 의원 (30%)

기독병원 (40%) 

서울삼성병원 (50%) 

 3000원

4000원 

5000원 

 

 

경증 52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질환의 경우는 여기에 다 포함된다

 

일반적인 감기, 피부병, 변비, 설사, 고혈압, 당뇨, 관절염, 위장병......등등등

 

(당뇨병도 인슐린을 맞지 않는 이상 여기에 다 걸린다)

 

한마디로

 

이 정책의 의미는 경증 질환은 주위에서 볼 수 있는 병/의원에 가라는 것이다 (1차 의료기관)

 

( 의료체계가 1차의료기관 -> 2차의료기관 -> 3차의료기관 이렇게 진행되기도 하기 때문 )

 

그래도 유명한 병원 가고싶으면 돈을 더 내라 이 뜻이다

 

현업에 있으면서

 

매달 같은 처방전 (대게 고혈압약이나 고지혈증약 드시는분, 혹은 바라크루드 같은 간염약)에 V252코드 찍힌채

 

몇년째 약만 타가시는 환자분들이 많은데

 

동네 내과에서 일반 처방전으로 받는 것도 약값 아끼는 방법중 하나 일듯...

 

뭐 이건 개인의 선택이니 이래라 저래라 하기는 싫다

 

 

추가 )

 

v252 같은 경우 처방전에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처방전 규격이 제각각이라 약국에서 못볼경우 손해가 크다

 

그렇다고 환자에게 30%로 돈 받고

 

나중에 전화해서 10%로 더 내라고 하기도 좀 그러함

 

병원이름 보고 좀 큼직 스럽다 느껴지면 본능적으로 v252부터 찾아야함

 

그리고 처방전 규격이 전국적으로 통일 되었으면 하는 바람

 

 

 

 

 < 52개경증질환 >

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A09.0A09.9)

손 백선(B35.2)

발 백선(B35.3)

체부 백선(B35.4)

와상 백선(B35.5)

사타구니 백선증(B35.6)

기타 피부사상균증(B35.8)

상세불명의 피부사상균증(B35.9)

신장 합병증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2)

눈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3)

신경학적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4)

순환기계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5)

기타 명시된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6)

다발성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7)

상세불명의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8)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9)

지질단백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증(E78.0E78.9)

다래끼 및 콩다래끼(H00.0H00.1)

눈물계통의 장애(H04.0H04.9)

결막염(H10.0H10.9)

노년성 백내장(H25.0H25.9)

굴절 및 조절의 장애(H52.0H52.7)

외이의 연조직염(H60.1)

기타 감염성 외이도염(H60.3)

비감염성 급성 외이도염(H60.5)

기타 외이도염(H60.8)

상세불명의 외이도염(H60.9)

양성 고혈압(I10.0)

상세불명의 고혈압(I10.9)

급성 비인두염[감기](J00)

급성 부비동염(J01.0J01.9)

급성 인두염(J02.0J02.9)

급성 편도염(J03.0J03.9)

급성 후두염 및 기관염(J04.0J04.2)

다발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급성 상기도 감염(J06.0J06.9)

상세불명의 급성 기관지염(J20.9)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J30.0J30.4)

만성 비인두염(J31.1)

만성 인두염(J31.2)

만성 부비동염(J32.0J32.9)

천식(J45.0J45.9)

-식도역류병(K21.0K21.9)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급성 위궤양(K25.3)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만성위궤양(K25.7)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급성인지 만성인지 상세불명인 위궤양(K25.9)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급성 상세불명 부위의 소화성 궤양(K27.3)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만성 상세불명 부위의 소화성 궤양(K27.7)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급성인지 만성인지 상세불명인 상세불명 부위의 소화성 궤양(K27.9)

위염 및 십이지장염(K29.0K29.9)

소화불량(K30)

알레르기성 또는 식사성의 위장염 및 결장염(K52.2)

불확정 결장염(K52.3)

기타 명시된 비감염성 위장염 및 결장염(K52.8)

상세불명의 비감염성 위장염 및 결장염(K52.9)

자극성 장 증후군(K58.0K58.9)

변비(K59.0)

기능성 설사(K59.1)

달리 분류되지 않은 신경성 장(K59.2)

항문연축(K59.4)

기타 명시된 기능성 장장애(K59.8)

상세불명의 기능성 장장애(K59.9)

달리 분류되지 않은 지방간(K76.0)

상세불명의 간질환(K76.9)

기타 아토피피부염(L20.8)

상세불명의 아토피피부염(L20.9)

기타 요인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L23.8)

상세불명 원인의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L23.9)

두드러기(L50.0L50.9)

기타 관절염(M13.0M13.9)

기타 척추증(M47.8)

상세불명의 척추증(M47.9)

상세불명의 경추간판장애(M50.9)

기타 명시된 추간판변성(M51.3)

쉬몰결절(M51.4)

기타 명시된 추간판 장애(M51.8)

상세불명의 추간판 장애(M51.9)

기타 등통증(M54.8)

상세불명의 등통증(M54.9)

석회성 힘줄염(M65.2)

방아쇠 손가락(M65.3)

기타 윤활막염 및 힘줄윤활막염(M65.8)

상세불명의 윤활막염 및 힘줄윤활막염(M65.9)

어깨의 유착성 피막염(M75.0)

이두근 힘줄염(M75.2)

상세불명의 어깨병변(M75.9)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골부착부병증(M77.8)

상세불명의 골부착부병증(M77.9)

근통(M79.1)

지방대의 비대(M79.4)

사지의 통증(M79.6)

기타 명시된 연조직 장애(M79.8)

상세불명의 연조직 장애(M79.9)

병적골절이 없는 골다공증(M81.0M81.9)

급성 방광염(N30.0)

상세불명의 방광염(N30.9)

만성전립선염(N41.1)

급성 질염(N76.0)

급성 외음염(N76.2)

폐경기 및 여성의 갱년기 상태(N95.1)

폐경기후 위축성 질염(N95.2)

상세불명의 폐경기 및 폐경기전후 장애(N95.9)

요추의 염좌 및 긴장(S33.5)

천골장골관절의 염좌 및 긴장(S33.6)

기타 및 상세불명의 요추 및 골반부분의 염좌 및 긴장(S33.7)

손가락의 염좌 및 긴장(S63.6)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 부분의 염좌 및 긴장(S63.7)

기타 및 상세불명의 무릎 부분의 염좌 및 긴장(S83.6)

발가락의 염좌 및 긴장(S93.5)

기타 및 상세불명의 발 부분의 염좌 및 긴장(S93.6)

 

 

+ Recent posts